목록전체 글 (58)
호기심 많은 개발자 🚀
자료구조(data structure)란? "데이터 값의 모임, 또 데이터 간의 관계, 그리고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는 함수나 명령을 의미한다." 자료구조의 추상화란? "자료를 특정 기준으로 분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료를 추상화 했을때 얻을 수 있는 장점👍🏻 복잡한 것을 숨기고 중요한 정보와 공통점 등을 노출 시키기에 자료의 관리 측면에서 큰 이점을 가져갈 수 있다.
주로 사용하는 3가지 방식 DB 엔티티 == Java Class MyBatis > SQL Spring JDBC > SQL JAP 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웹 서비스 정적 콘텐츠 사용 > resources hello.html hello.css hello.png 동적 콘텐츠 사용 서버 페이지(Servlet, JSP) 서버측에서 동작 후 동작으로 생성되는 페이지 주로 서버측의 템플릿 엔진(JSP)을 사용해서 페이지를 동적 생성한다. REST API 제공 REST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 REST API 설계 규칙 URL에서 자원을 표시한다. URL에 동사를 표시하지 않는다. HTTP Method를 사용해서 행동을 표시한다. 2번에서 동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HTTP Method를 사용해서 표현한다. a. GET 리소스 요청 b. POST 데이터 전달 + 서버측 생성 c. PUT 데이터 전달 + 수정(전체..
✔ 추상화 구체적인 모든 사실이 아니라 전형적이고 필요한 부분만을 발췌하여 사뭉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것 ✔ 클래스 클래스는 객체를 만들기 위한 모형 또는 틀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는 객체들을 추상화하기 위한 수단 객체의 상태는 필드(데이터)로 , 행위는 메소드로 구분 됨. ✔ Java 프로그램 EX ] C : 함수와 변수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밍 JAVA : 클래스로 만든 객체끼리 서로 소통하며 프로그래밍

🔎 명제 🔎 명제란 "참과 거짓을 구별할 수 있는 문장이나 수식" 을 명제라고 한다. ( 주관등에 의해서 결과가 변한다면 명제가 아니다. ) 명제의 진리값 표기법은 참 > T 거짓 > F 으로 표현한다. 예시 ) x + 1 = 0 >>>> 참일 수도 거짓일 수도 있다. 따라서 명제가 아니고 "명제함수"라 칭한다. 👀 논리연산 👀 중요 개념 > 연산의 개념 연산이란 "무언가 다른 두가지를 조합해서 새로운 무언가를 만들어 내는것" 을 의미한다. 논리합 ( disjunction; or ; v ) p v q 논리곱 ( conjunction; AND; ^ ) p ^ q 논리차 ( NOT; ~ ) p ~ q 배타적 논리합 ( exclusive or ; xor ; ⊕ ) p ⊕ q { ( p ^~ q ) v ( ~p..
🤷♂️ sql loader 사용 이유와 사용 계기 🤷♂️ 업무 중 규칙을 가진 text 파일의 데이터를 대량으로 ( 약 600만 건 ) 테이블에 입력시켜야 되는 상황이 발생했다. 때문에 초기 방법으로는 Toad에서 지원하는 import 기능을 사용 하려고 했다. 컬럼이 약 18개 정도이니 데이터 수는 약 1억 개 정도 되었을 것이었고 , 계산 상으로 테이블에 데이터 입력 시간이 18시간 정도 소요되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 상황에서 sqlLoader의 존재를 알게 되었고 , 해당 기능을 사용하여 약 20분 만에 모든 정보를 테이블에 넣을 수 있었다. 👇👇👇 SQL LOADER 에 관한 정보와 사용법은 아래에 작성하겠다. 👇👇👇 SQL LOADER 란 ? "규칙을 가진 외부 파일 데이터를 ORACLE 데..